관절염 스테로이드 주사, 의외로 위험 크다"

건강 2019. 10. 16. 12:37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으로 인한 관절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주사(뼈주사)가 알려진 것보다 의외로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대학 의대 영상의학 실장 알리 게르마지 박사 연구팀은 관절 스테로이드 주사가 관절염 진행을 촉진하고 스트레스 골절과 골 손실 위험을 높이는 등 의외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와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15일 보도했다.
무릎 관절염 또는 고관절염으로 스테로이드 주사를 1~3회 맞은 환자 45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는 것이다.
이들 중 26명(6%)은 주사 후 관절염의 진행 속도가 빨라졌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특히 이들 중 3명에게서는 골 손실과 함께 급속한 관절 파괴가 나타났으며 4명은 고관절에 스트레스 골절이 발생하고 3명은 골 조직이 "죽는" 골 괴사(osteonecrosis)가 나타났다.
이러한 합병증은 스테로이드 주사 후 평균 7개월 사이에 나타났다.
그 원인이 스테로이드 주사 때문이라고 확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이는 2017년 미국 의사협회 저널(JAMA)에 발표됐던 유사한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그 연구보고서는 무릎 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2년에 걸쳐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스테로이드를 반복적으로 주사한 환자들은 위약(식염수)을 주사한 환자들에 비해 통증 완화는 없으면서 무릎 연골 손실이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고 밝히고 있다.
이 연구결과에 대해 뉴욕대학 메디컬센터 류머티즘 전문의 나탈리 아자르 박사는 퇴행성 관절염 통증이 점점 심해져 의사가 스테로이드 주사를 권유하면 먼저 사진을 찍어 관절에 통증 악화를 가져올 만한 병변이 발생한 것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통증 악화가 연골의 반월판(meniscus) 파열 같은 다른 원인 때문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런 것이 아니라면 스테로이드 주사 대신 체중 감소, 물리요법 같은 다른 방법도 생각해 보도록 그는 권했다.
약이 필요한 경우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NSAID)를 쓰되 장기간 사용하면 부작용이 큰 만큼 먼저 바르는 연고형을 쓰고 그다음 경구용으로 옮겨가는 것이 좋다고 그는 강조했다.
심한 통증이 계속될 때는 심발타, 리리카, 뉴론틴 같은 신경병성 통증 치료제를 선택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설정

트랙백

댓글

마트서 종이상자 퇴출' 민심 심상치 않자..시범사업 시기 미룬 정부

종합 2019. 10. 15. 11:17

당초 내달 1일부터 시범사업 통해 종이상자 퇴출 실시 예정
하지만 최근 협의체 열고
시기 미루기로 결정
연말 가까워 온 상황인데..
환경부 "연말에 시범사업 진행해
퇴출여부 최종결정"

내달부터 대형마트에서 종이상자를 퇴출키로 한 정부의 방침이 여론 반발에 시행 시기가 미뤄졌다. 소비자들이 편의성 문제를 제기하며 강하게 반발하자 시범 시기를 계획보다 최소화한 뒤 여론 추이에 따라 시행하기로 한 것. 일각에서는 탁상행정에 대한 논란이 사그러들지 않을 경우 제도 시행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와 롯데마트, 홈플러스, 하나로마트 등 대형마트 4사와 환경부는 당초 내달 1일부터 시범사업을 통해 종이상자와 자율포장대를 일부 점포에서 없애기로 했다. 하지만 최근 협의체를 열고 시범사업 시작 시기를 미루기로 결정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연말에 시범사업을 진행한 후 내년 종이상자 퇴출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당초 11월1일부터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1월부터 본격 적용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에서 한 발짝 물러선 것이다. 이미 연말이 가까워진 상태에서 시범 사업 여부에 따라 종이상자를 없앨지를 결정하겠다는 것은 그 만큼 정부가 여론의 반발을 민감하게 의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읽힌다. 시범사업을 언제 시작할지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환경부는 지난 8월29일 대형마트 4사와 '장바구니 사용 활성화 점포 운영 자발적 협약식'을 맺고, 2~3개월간 준비 작업을 거친 뒤 대형마트에서 자율포장대와 종이상자를 없앤다고 밝혔다. 자율포장대는 종이상자와 비닐끈 등을 비치해 놓고 소비자들이 자율적으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로, 대량구매 소비자들이 주차장까지 구매품을 옮기기 위해 장바구니 대용으로 자주 이용했다. 종이상자를 고정하기 위한 비닐끈이나 테이프 쓰레기가 연간 600t 가까이 발생하면서 환경오염 문제가 지적되자 대형마트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종이상자 퇴출에 나선 것이다. 단 고객이 원할 경우, 종량제 봉투나 종이 상자를 구입할 수는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이를 두고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대형마트를 찾는 대량구매 고객들은 대부분 3~4인 가족이 1~2주에 걸쳐 먹을 식료품을 사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장바구니만으로는 주차장까지 물품을 옮기기가 쉽지 않다. 종이상자를 이용하면 한 번에 옮길 수 있는 것도 장바구니로는 2~3번 옮겨야 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는 "대량구매시에는 무조건 온라인을 이용하게 될 것"이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또 종이박스를 물건 포장에 사용하는 것은 종이상자를 재활용하는 것이나 다름 없는데 굳이 규제해야 하느냐는 볼멘소리도 쏟아졌다.
당장 혼란을 피하게 된 대형마트들은 대량구매 고객들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착수한 상태다. 이마트와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은 종이상자 퇴출을 대비해 코스트코 등 창고형 매장에서 쓰이는 것에 육박하는 대형 장바구니를 개발 중이다. 하지만 대형 장바구니를 도입한다 하더라도 종이박스의 편의성이 높아 '괜한 규제를 했다'는 비판을 피해가기 어렵게 될 전망이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정부와 대형마트 협의체는 장바구니 사용이 어느 정도 정착됐다는 데 인식을 함께하고 있다"며 "대형 장바구니가 도입되면 불편도 점차 사그라들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아시아경제

설정

트랙백

댓글